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맛있는 인생.

2016 의료기술직(임상병리) 합격수기 [수험번호 46150015] 본문

공무원

2016 의료기술직(임상병리) 합격수기 [수험번호 46150015]

맛있는 인생. 2016. 5. 31. 16:43

2016 의료기술직(임상병리) 합격수기 [수험번호 46150015] 

먼저 제가 이렇게 합격후기를 쓰고 있다는게 아직도 믿겨지지가 않습니다.
하루에도 몇번씩 최종합격자 명단과 제 수험번호를 맞춰보며 내가 잘못본건 아닌지 의심할 정도이니깐요. 저는 작년에 병원 일을 그만두고 시험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 처음 시험공부를 시작하기로 마음 먹었을때, 저는 무조건 1년 내에 합격하는것을 목표로 두고 시작하였습니다.
공부가 길어질수록 스스로 지친다는것을 너무 잘 알았고, 병원일을 그만두고 시작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부모님께 부담을 드리고 싶지 않아서 였습니다. 이제 막 공무원준비를 시작하시는 분들께 제일 먼저 말씀 드리고 싶은 부분이 가능한 공부기간을 짧게 잡고 집중해서 공부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그리고 항상 '나는 할수 있다' 라는 마인드로 공부하시면 모두 좋은결과 있으실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나서 실강을 들으실지, 동영상 강의를 들으실지 결정하셔야 합니다.
이 부분은 자신에게 맞는 공부방법을 찾아서 결정하시면 될거같아요. 저는 반복해서 듣는걸 선호하고 실강 들으러 가는 시간이 아까워 실제로 실강은 한번도 듣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분명 실강 듣는것이 도움되는 부분도 많습니다. 선생님 또는 같이 공부하는 학생들과 소통하며 공부하는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학원선택입니다. 이 부분은 저도 정말 고민 많이했고, 실제로 의료기술직 공무원과 관련된 자료나 도움을 받을 만한 정보통이 부족해서 몇일 동안 샘플강의 들으면서 결정했습니다. 저는 이과를 졸업해서 생물2까지 했기때문에 생물에는 어느정도 자신감이 있었지만, 공중보건이 많이 어려웠습니다. 공중보건은 일단 많이 읽고, 많이 풀고, 많이 듣는 방법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김희영 교수님 강의를 여러번 듣다 보니, 강의하실때 모습이 생각나면서 저절로 암기가 된 부분이 많이 있었습니다. 흐름을 알려주시니까 무조건 암기 보다는 눈에 익혀 외워지게끔 훈련하시는게 중요할거 같습니다.

<생물>
처음시작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기본서로 삼을 책 한권을 만드세요.
문제 풀면서 새로 알게된 내용, 다른책에 있었던 내용을 책 한권에 모두 옮겨 적고, 마지막에는 그 책만 여러번 반복해서 보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처음 생물 공부를 시작할때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처음부터 꼼꼼히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반복과 복습을 여러번했고, 문제는 시험준비 몇달 남기고 부터 풀었던거 같습니다.
보통 문제를 풀기위해 기본서를 완독하는데, 저는 스스로 기본서가 완벽해 졌다 싶었을때 문제를 풀었습니다.

<공중보건>
암기과목인 만큼 암기할 부분이 많습니다. 처음에는 대학교 전공과목과 국시에 공부했던거 생각하고 만만히 봤다고 큰코 다쳤습니다. 국가고시 공중보건보다 훨씬 깊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부할부분도 넓고 공부할수록 모르는부분이 자꾸 생겨, 어느부분까지 봐야할지 한번쯤 혼란스러울 것입니다. 일단 교수님을 믿고 외울부분은 확실히 외우고, 차츰 문제를 풀면서 넓혀 가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자신만의 노트를 만들어 반복해서 보는것도 좋습니다.

<면접>
저는 2주간 스터디 면접을 통해 준비했습니다. 가능하면 스터디 면접을 꼭 하시길 추천드리고, 전공과 관련된 시사문제도 준비하세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2주간의 시간동안 스터디 조원들을 통해 많이 배우고 면접준비 또한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자신이 컷트라인이라 해서 두려워하지 마시고 요즘 면접이 중요시 되고 있는 만큼, 실제로 같이 면접준비하셨던 두분도 면접에서 뒤집는 결과가 있었습니다. 떨지말고 목소리 크게 말씀하시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저는 한시간이라도 집중해서 공부하려고 했습니다. 오랜시간 앉아있는것도 중요하지만 집중이 되지 않는날에는 과감히 책을 덮고 나가서 좋아하는일을 했습니다. 직장 다니는 친구들 사이에서 혼자 공부하면서 힘든날도 많았지만, 끝까지 할수있다는 마인드로 포기하시지 마시고 노력하신다면 모두 좋은결과 있으실거라 생각합니다!!^^ 

Comments